주식공부 4

투자근거 | 재무상태표 (자본총계, 차입금비율, 청산가치, PBR)

재무상태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이 회사가 "가진 것이 많은가?"와 "빚이 많은가?"이다. 각종 지표들을 통해 해당 기업 주식 수익률과 기업 안정성(파산 가능성)을 짐작해볼 수 있다. 1. 기업이 가진 것 (= 총자산 = Total Assets = 자본총계) 기업의 총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합이다. ⊙ 총자산 = 유동자산 + 비유동자산 유동자산이란 1년 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뜻한다. (흐를'유', 움직일'동' 즉 움직이는 자산이다.) 비유동자산은 당장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을 뜻한다. 총자산 유동자산 현금성 자산 취득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단기금융상품 (주식은 현금성 자산이 아님) 매출채권 기업이 상품을 외상으로 팔았을 때 발생한 채권 (외상 매출금과 받을 어음) 재고자산 상품 재고, 원재료..

프로젝트 Fire 2022.02.19

투자근거 | 포괄손익계산서

좋은 기업인지 아닌지 판단할 때 가장 기본적인 질문 중 하나는 "돈은 제대로 벌고있는가?" 이다. 이 기업이 현재 이익을 보는지 손해를 보는지, 이익을 내고 있다면 과거에 비해 늘었는지 줄었는지 여부는 기업 분석의 기본이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는 위한 문서를 "포괄 손익 계산서"라고 한다.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역시 제무재표에 포함된 내용이다. DART 전자공시에서 확인 가능하며 위 이미지와 같은 표 형식으로 제공된다. 포괄손익계산서가 말하는 건 간단하다. 일정 기간동안 "결국 얼마 벌었어? 얼마 썼어?"를 보여준다. 간단하게 테이블에 명시된 주요 내용과 의미를 보자. ⊙ 매출액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얻는 수익을 의미한다. ⊙ 영업외이익이란 부수입으로 벌어들이는 돈이다. ⊙ 당기순이익이란 매출에..

프로젝트 Fire 2022.01.27

투자근거 | 현금흐름표 (재무제표)

알짜기업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 돈을 제대로 벌고 있음 2. 빚이 별로 없음 3. 현금흐름이 좋음 이 3가지 항목을 충족하는 기업을 알짜 기업이라 볼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은 이중 3번 항목. "현금흐름"에 대해 파악하는 방법을 쓴다. 현금흐름표는 HTS나 전자공시시스템(DART), 네이버를 통해 재무제표 란에 들어가 확인할 수 있다. 현금흐름표 기본적으로 (+) 값이면 회사 내로 현금이 들어왔다는 걸 뜻하고, (-) 면 회사가 현금을 지출했다는 걸 뜻한다. 현금흐름표에서는 다음 3가지를 본다. (1) 영업활동 현금흐름 : (+) 값이 나오면 영업을 통해 현금을 잘 벌어 들이고 있다는 의미다. (2) 투자활동 현금흐름 : (-) 값이 나오는 게 보통이다. (-)로 나왔다는 건 투자로 인한 지출이 ..

프로젝트 Fire 2022.01.25

주식의 기초 지표 (EPS, BPS, PBR, EV/EBITDA)

주식 투자 시 그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가 있다. 흔히 '가치투자'란 이 지표들을 토대로 가치를 측정한 뒤 투자하는 것이다. 네이버 검색 기준으로 해당 정보를 보는 루트는 다음과 같다. Step1. NAVER 금융에서 기업 검색 Step2. 종목분석 클릭 Step3. 투자지표 클릭 1. EPS EPS란 주식당 순이익을 뜻한다. 가령 한주당 70,000원인 종목의 EPS가 5,000이라면, 70,000원짜리 주식 하나로 5,000원을 벌어들인다는 의미다. 따라서 EPS가 높을 수 록 가성비가 좋은 회사라는 뜻이다. 2. BPS 주당 순자산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BPS = 자본총계/주식수}이다. BPS 값보다 현재 주식 가격이 높으면 해당 주식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

프로젝트 Fire 202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