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Fire 8

가장 효율적인 자기계발법

낮에는 직장일 오후에는 육아. 시간은 늘 부족하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워도 Input은 꾸준히 넣어야 한다. 보고 읽고 쓰고, 오래 생각하고 행동하고 체화해야 한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1회 소모성 영상 유튜브는 좋은 공부 소스지만 복습은 잘 안 하게 되는 것 같다. 1회 시청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유익하다고 느낀 영상은 '저장하기' 하여 따로 목록에 넣어두긴 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잘 보게 되지 않더라. 이유를 생각해보니 크게 두가지다. ⊙ 옆길로 샘 ⊙ 영상 컨텐츠 질 저하 우선 유튜브를 켜면 어그로성 썸네일이 한가득이다. 궁금증을 유발하여 클릭을 하게 만든다. 그래서 원래 좋은 영상 복습하려고 켰다가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옆길로 새는 거다. 그러면 시간이 또..

프로젝트 Fire 2022.06.18

다시 시작해보는 프로젝트 FIRE (파이어족 프로젝트)

월 xx만 원 정도 더 벌면 얼마나 좋을까? 작년 가을 월급 외 부수입 만들기 도전을 했었다. 블로그를 만들어 에드센스를 달기도 했고, 크몽에서 전자책을 팔아보기도 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크몽 전자책은 겨우 3권 팔렸고 에드센스 수익은 $2.64 뿐이었다. (기준 미달로 출금도 안되는 금액) 약 1년이 지난 지금도 모든 건 그대로이다. 전부 흐지부지되어 정지된 상태다. 이유는 있었다. 도전을 지속 하기에 정신적 신체적 여유가 없었다. 2021년 3월에 태어난 아기를 키우는 데 내 개인의 삶이 가능할 리 없었다. 부족한 잠과 무한 반복되는 육아에 뇌는 굳었고 창의성이나 아이디어도 메말라버렸다. 쌓인 스트레스로 머리가 전혀 돌아가지 않았다. 약간의 시간이 났을 땐 그저 쉬고 싶었다. 사실 육아와 내..

프로젝트 Fire 2022.06.06

투자근거 |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기업의 "이익"을 나타내는 여러 용어 중 가장 흔히 쓰이는 3가지를 소개한다. 1. 순이익 (Net income) 흔히 재무제표에서는 "당기 순이익"이라는 항목으로 확인 가능하다. 순이익은 기업 이익을 나타내는 가장 상위 개념이다. 결국 중요한 건 뺄거 다 빼고 순수하게 본 이익이기 때문이다. 순이익은 영업을 통해 얻은 순이익 (영업이익)과 영업 이외의 활동, 가령 금융 및 투자 소득 등을 통해 얻은 순이익(영업외수익)으로 나눌 수 있다. ⊙ 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2.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기업이 이익을 얻는 루트는 다양하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 얻기도하고, 투자 이익이나 이자, 저작권료 등 수입도 있다. 이때 전자를 영업이익이라 한다. 즉 영업이익은 기업이 자신들 ..

프로젝트 Fire 2022.03.01

투자전략 | NCAV (Net Current Asset Value)

주식 퀀트 투자 방식 중 하나인 NCAV 전략을 소개한다. 이 전략은 워렌버핏 선생님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만든 전략으로 역사가 90년도 더 되었다. NCAV 전략이란 흑자를 내는 기업 중, 청산가치가 시가총액보다 높은 기업을 분산 매수하는 투자 방법이다. 기업이 망하면 기업을 청산하게 된다. 이때 청산해 나온 돈으로 우선 부채부터 다 갚는다. 그리고 남은 돈은 주주들이 가져가게 된다. 따라서 청산가치가 시가총액보다 높다는 건 기업이 망해도 주주들이 돈을 어느정도 받을 수 있는 기업으로 볼 수 있다. 즉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상적이고 마음이 편안한 기업들이다. NCAV = 유동자산 - 총 부채 (※ 유동자산으로 계산하는 이유는 NCAV를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위함이다. 즉 가치를 과대평가 하지 않기 위함임.)..

프로젝트 Fire 2022.02.20

투자근거 | 재무상태표 (자본총계, 차입금비율, 청산가치, PBR)

재무상태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이 회사가 "가진 것이 많은가?"와 "빚이 많은가?"이다. 각종 지표들을 통해 해당 기업 주식 수익률과 기업 안정성(파산 가능성)을 짐작해볼 수 있다. 1. 기업이 가진 것 (= 총자산 = Total Assets = 자본총계) 기업의 총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합이다. ⊙ 총자산 = 유동자산 + 비유동자산 유동자산이란 1년 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뜻한다. (흐를'유', 움직일'동' 즉 움직이는 자산이다.) 비유동자산은 당장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을 뜻한다. 총자산 유동자산 현금성 자산 취득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단기금융상품 (주식은 현금성 자산이 아님) 매출채권 기업이 상품을 외상으로 팔았을 때 발생한 채권 (외상 매출금과 받을 어음) 재고자산 상품 재고, 원재료..

프로젝트 Fire 2022.02.19

투자근거 | 포괄손익계산서

좋은 기업인지 아닌지 판단할 때 가장 기본적인 질문 중 하나는 "돈은 제대로 벌고있는가?" 이다. 이 기업이 현재 이익을 보는지 손해를 보는지, 이익을 내고 있다면 과거에 비해 늘었는지 줄었는지 여부는 기업 분석의 기본이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는 위한 문서를 "포괄 손익 계산서"라고 한다.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역시 제무재표에 포함된 내용이다. DART 전자공시에서 확인 가능하며 위 이미지와 같은 표 형식으로 제공된다. 포괄손익계산서가 말하는 건 간단하다. 일정 기간동안 "결국 얼마 벌었어? 얼마 썼어?"를 보여준다. 간단하게 테이블에 명시된 주요 내용과 의미를 보자. ⊙ 매출액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얻는 수익을 의미한다. ⊙ 영업외이익이란 부수입으로 벌어들이는 돈이다. ⊙ 당기순이익이란 매출에..

프로젝트 Fire 2022.01.27

투자근거 | 현금흐름표 (재무제표)

알짜기업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 돈을 제대로 벌고 있음 2. 빚이 별로 없음 3. 현금흐름이 좋음 이 3가지 항목을 충족하는 기업을 알짜 기업이라 볼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은 이중 3번 항목. "현금흐름"에 대해 파악하는 방법을 쓴다. 현금흐름표는 HTS나 전자공시시스템(DART), 네이버를 통해 재무제표 란에 들어가 확인할 수 있다. 현금흐름표 기본적으로 (+) 값이면 회사 내로 현금이 들어왔다는 걸 뜻하고, (-) 면 회사가 현금을 지출했다는 걸 뜻한다. 현금흐름표에서는 다음 3가지를 본다. (1) 영업활동 현금흐름 : (+) 값이 나오면 영업을 통해 현금을 잘 벌어 들이고 있다는 의미다. (2) 투자활동 현금흐름 : (-) 값이 나오는 게 보통이다. (-)로 나왔다는 건 투자로 인한 지출이 ..

프로젝트 Fire 2022.01.25

주식의 기초 지표 (EPS, BPS, PBR, EV/EBITDA)

주식 투자 시 그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가 있다. 흔히 '가치투자'란 이 지표들을 토대로 가치를 측정한 뒤 투자하는 것이다. 네이버 검색 기준으로 해당 정보를 보는 루트는 다음과 같다. Step1. NAVER 금융에서 기업 검색 Step2. 종목분석 클릭 Step3. 투자지표 클릭 1. EPS EPS란 주식당 순이익을 뜻한다. 가령 한주당 70,000원인 종목의 EPS가 5,000이라면, 70,000원짜리 주식 하나로 5,000원을 벌어들인다는 의미다. 따라서 EPS가 높을 수 록 가성비가 좋은 회사라는 뜻이다. 2. BPS 주당 순자산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BPS = 자본총계/주식수}이다. BPS 값보다 현재 주식 가격이 높으면 해당 주식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

프로젝트 Fire 2022.01.12